본문 바로가기
산부인과

난소과자극증후군(Ovarian Hyperstimulation Syndrome, OHSS) 원인과 증상, 치료법

by Health_king_ospatch 2025. 3. 15.
반응형

 

 

1. 난소과자극증후군이란?

난소과자극증후군(Ovarian Hyperstimulation Syndrome, OHSS)은 배란유도제 사용 후 난소가 과도하게 반응하여 부종과 혈관 투과성 증가로 인해 복부 팽만, 체액 축적 등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. 인공수정 또는 시험관 아기 시술(IVF) 과정에서 주로 나타나며, 중증일 경우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.

2. 원인

난소과자극증후군의 주요 원인은 배란 유도를 위한 호르몬 치료로 인해 난소에서 다량의 난포가 성장하면서 과도한 혈관 활성화가 일어나는 것입니다.

  • 배란유도제 사용: 클로미펜(Clomiphene), 인간 융모성 생식선 자극 호르몬(hCG) 사용.
  • 체액 이동 장애: 혈관 투과성이 증가하면서 체액이 복강 내로 이동하여 부종과 복수 발생.
  • 고농도의 에스트로겐 증가: 난소에서 생성된 에스트로겐과 혈관내피성장인자(VEGF)의 과도한 분비가 신체 반응을 촉진.

3. 증상

난소과자극증후군의 증상은 경증부터 중증까지 다양하게 나타납니다.

  • 경증(가벼운 증상)
    • 복부 팽만감
    • 경미한 복통
    • 메스꺼움, 가벼운 체중 증가
  • 중등증(보다 심각한 증상)
    • 심한 복부 팽만 및 통증
    • 심한 오심 및 구토
    • 급격한 체중 증가(5일 이내 3kg 이상)
    • 숨참, 호흡 곤란
  • 중증(심각한 합병증 동반)
    • 심한 복수(복강 내 체액 축적)
    • 혈액 농축으로 인해 혈전 발생 위험 증가(폐색전증, 심부정맥혈전증)
    • 신부전(소변량 감소, 급성 신부전 가능성)
    • 혈압 저하 및 쇼크

4. 치료법

1) 경증 치료(보존적 치료)

  • 충분한 수분 섭취: 혈액 농축 방지를 위해 적절한 수분 섭취.
  • 절대 안정: 심한 움직임을 줄이고 휴식.
  • 진통제 사용: 복부 팽만과 통증 완화를 위한 약물 처방.

2) 중등증 치료

  • 입원 치료 필요: 지속적인 체액 축적 및 호흡 곤란 발생 시 병원 치료 필요.
  • 정맥 주사(IV) 치료: 전해질 불균형 조절 및 수액 보충.
  • 항응고제 투여: 혈전 예방을 위한 혈액 희석제 사용.

3) 중증 치료(응급 상황)

  • 복수 천자(Paracentesis): 복부 내 과도한 체액을 제거하여 호흡 곤란 완화.
  • 신장 기능 모니터링: 급성 신부전 방지를 위한 정밀 검사 필요.
  • 혈전 예방 치료: 폐색전증 등의 합병증 예방을 위한 항응고제 적극 사용.

4) 예방 및 생활 습관 개선

  • 저용량 배란유도제 사용: 난소과자극증후군 위험이 높은 경우 저용량 hCG 사용.
  • 혈전 예방을 위한 가벼운 운동: 체액 저류 예방을 위해 걷기 등 가벼운 활동.
  • 단백질 섭취 증가: 혈관 투과성을 조절하기 위해 단백질 섭취 추천.

결론

난소과자극증후군은 배란 유도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심각한 부작용이므로, 배란유도제를 사용할 경우 반드시 전문가의 지도를 받아야 합니다. 조기에 증상을 감지하고 신속히 치료하면 심각한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.


 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