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흉선종이란?
흉선종(Thymoma)은 흉선(가슴샘)에서 발생하는 드문 종양으로, 대부분 양성이지만 일부는 악성으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. 흉선은 면역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, 특히 어린 시기에 T세포의 성숙을 돕습니다. 흉선종은 주로 성인에서 발견되며, 일부 환자는 특별한 증상 없이 건강검진 중 우연히 발견됩니다.
2. 흉선종의 원인
흉선종의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, 다음과 같은 요소가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.
- 자가면역 질환 연관성: 중증 근무력증(Myasthenia Gravis)과 밀접한 관련.
- 유전적 요인: 가족력과의 관련성이 일부 보고됨.
- 면역 체계 이상: 면역계 이상으로 인해 비정상적인 흉선 세포 증식 가능.
3. 흉선종의 증상
흉선종은 초기에는 증상이 거의 없지만, 종양이 커지면서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.
- 호흡곤란: 종양이 기관을 압박할 경우 숨쉬기 어려움.
- 가슴 통증: 흉골(가슴뼈) 부위의 불편감이나 통증.
- 기침: 지속적인 기침이 나타날 수 있음.
- 삼킴 곤란: 식도를 압박할 경우 음식 삼키기 어려움.
- 중증 근무력증 동반: 약 30~50%의 환자에서 중증 근무력증이 동반되며, 근육 약화, 안검하수(눈꺼풀 처짐), 삼킴 장애 등이 발생.
4. 흉선종의 치료법
- 수술적 절제(흉선 절제술, Thymectomy):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으로, 종양을 완전히 제거.
- 방사선 치료: 수술 후 남아있는 종양 세포를 제거하거나 진행된 종양 치료.
- 항암화학요법: 악성 흉선종 또는 전이된 경우 항암 치료 시행.
- 면역 억제제 및 스테로이드: 중증 근무력증과 동반된 경우 면역 조절 치료 필요.
5. 흉선종의 예후 및 관리
- 조기에 발견하여 수술하면 예후가 좋은 편.
- 정기적인 CT 또는 MRI 검사를 통해 재발 여부 모니터링.
- 중증 근무력증이 동반된 경우 신경과 및 면역과와 협진 필요.
'흉부외과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횡격막 탈장(Diaphragmatic Hernia) - 원인과 증상, 치료법 (0) | 2025.03.14 |
---|---|
흉곽기형(Thoracic Deformity) - 원인과 증상, 치료법 (0) | 2025.03.14 |
식도이완불능증(Achalasia) - 원인과 증상, 치료법 (0) | 2025.03.14 |
식도 협착(Esophageal Stricture) - 원인과 증상, 치료법 (0) | 2025.03.14 |
기관 협착(Tracheal Stenosis) - 원인과 증상, 치료법 (0) | 2025.03.1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