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신경과-신경외과

요골신경마비(Radial Nerve Palsy) 원인과 증상, 치료법

by Health_king_ospatch 2025. 4. 3.
반응형

 

 

 

1. 요골신경마비란?

**요골신경마비(Radial Nerve Palsy)**는
**상완골에서 팔과 손등을 따라 내려가는 요골신경(radial nerve)**이 압박되거나 손상되어
손목과 손가락을 위로 들어 올리지 못하는 마비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입니다.

흔히 알려진 **‘토요일 밤 마비(Saturday night palsy)’**가 대표적인 사례로,
수면 중 팔이 눌려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.


2. 원인

  • 압박성 손상: 팔꿈치를 베고 자거나, 술에 취해 장시간 특정 자세로 눌린 경우
  • 골절: 상완골 골절 시 요골신경 손상 동반
  • 외상: 팔에 직접적인 충격, 부상
  • 수술 합병증: 정형외과 수술, 신경 주위 수술 시
  • 종양, 낭종, 염증성 질환

3. 주요 증상

운동 장애

  • 손목하수(Wrist Drop): 손목과 손가락을 위로 들 수 없음
  • 손가락, 엄지의 폄근 마비

감각 이상

  • 손등의 감각 저하: 엄지~가운데 손가락 사이 손등 부위

🔍 기타

  • 팔꿈치 아래 힘줄 반사(삼두근 반사)는 정상
  • 장시간 지속되면 근위축 발생

4. 진단 방법

  • 병력 청취 + 이학적 검사: 특징적인 손목하수 확인
  • 신경전도검사(NCS), 근전도검사(EMG): 신경 손상 범위와 정도 평가
  • 영상 검사(MRI, 초음파): 골절, 종양, 낭종 등 구조적 병변 확인

5. 치료법

💊 비수술적 치료

  • 대부분 자연 회복 가능 (6~12주)
  • 손목 보조기(Wrist splint): 손목 안정화, 기능 유지
  • 물리치료, 작업치료: 근육 위축 방지 및 기능 회복

💉 약물치료

  • 신경통 완화: 가바펜틴, 프레가발린 등
  • 염증성 원인 시: 스테로이드 투여

🧬 수술적 치료

  • 3~6개월 이상 회복 없을 경우
  • 신경 이식, 신경 감압술, 건 이전술 등 고려

6. 예후 및 관리

  • 대부분 보존적 치료로 수개월 내 회복
  • 골절 동반 시 회복 지연 가능
  • 수면 자세나 반복되는 압박성 자세 피하기
  • 손목 보호대 착용으로 2차 손상 예방

결론

요골신경마비는 압박이나 외상에 의한 말초신경 손상 중 가장 흔한 질환 중 하나로,
조기 진단과 보존적 치료만으로도 대부분 회복이 가능합니다.
손목하수가 있다면 즉시 신경과 또는 정형외과 진료를 통해 신경 손상 정도를 평가하고, 기능 보존을 위한 치료가 필요합니다.


#요골신경마비 #WristDrop #RadialNervePalsy #손목하수 #말초신경마비 #신경압박 #토요일밤마비 #신경전도검사 #보존적치료 #보조기치료

반응형